github.io에 썼던 글을 옮긴 것입니다.
티스토리로 다 옮겨올거야! (조회수 분산 방지..)
우분투에는 여러가지 테마들이 있다. 나는 그 중에서 macOS Catalina와 비슷해 보이는 테마인 Mcata GTK를 설치해 볼 것이다.
아래는 설치를 직접 해 보면서 과정 하나하나를 기록한 것이다.
우선, 내 ubuntu는 20.04 LTS 버전이다.
근데 Mcata 하고 마음에 안들어서 다시 설치했다. Mcata 써둔게 아까워서 안지웠으니.... 더 밑에꺼 보고 하세요
마음에 안 드는 테마였음
Mcata 다운로드하기
Mcata GTK 테마는 Gnome-look.org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이트에 들어가면, Fi≤s 탭을 눌러 보자.
그럼 아래와 같이 Mcata GTK의 여러가지 테마들을 다운받을 수 있는 곳이 보일 것이다.

나는 Mcata-dark 테마을 다운받을 것이다.
원하는 버전의 DL column의 다운받는 버튼을 클릭하여 필요한 파일을 다운받는다.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받는 창이 나온다.
다운로드를 해 보도록 하자.

다운로드 확인하기
.tar.xz 파일이 다운로드 될 것인데,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받아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 보자.
$ ls ~/Downloads | grep Mcata

이렇게 다운받은 파일이 잘 나오면 제대로 다운이 된 것이다.
Mcata 압축 풀기
파일이 .tar.xz 파일이므로, 설치를 위해서는 압축을 풀어야 한다.
다음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압축을 풀도록 하자.
$ cd ~/Downloads
$ tar xvf 다운받은파일이름
다운받은 파일 이름은 각자 다를 것인데, 보통 Mcata 정도 대충 치고 탭키 누르면 알아서 딸려올 것이다.

압축을 풀면 밑에 와랄라 파일 이름이 나올 것이고, Downloads 폴더 안에 해당 테마의 이름으로 압축 풀린 폴더가 하나 생성될 것이다.
Mcata 설치하기
공식 홈페이지에서 소개하는 설치 방법은 두 가지이다.
Ubuntu에서는 사용자 계정을 여러개 만들 수 있으므로, 내가 지금 로그인해서 사용하고 있는 유저에게만 이 테마를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모든 유저에게 이 테마를 적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나는 내가 지금 로그인한 유저에게만 적용하는 설치 방법을 따를 것이다. 모든 유저에게 해당 테마를 일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식 홈페이지 에서 System-wide 설치 방법을 따라 하면 된다.
Single-user
$ mkdir -p ~/.themes
$ cd ~/Downloads $ mv Mcata*/ ~/.themes
~.themes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 안에 압축을 풀었던 Mcata어쩌고저쩌고 폴더를 넣으면 된다.

ls~.themes를 통해 폴더가 잘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cata 적용하기
이제 System Setting에서 테마를 바꿔서 Mcata 테마를 적용해야 한다.
나는 Ubuntu 20.04 LTS 이므로 Gnome Shell 환경인데, 이 환경에서 테마를 적용하려면 TweakT∞l이라는 것이 필요하다.
보통 우분투를 설치할 때 기본 기능을 모두 깔면 같이 설치가 된다고 하는데, 나는 최소 설치로 깔아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없다.
따라서, TweakT∞l을 설치해 보자.
Tweak Tool 설치하기
TweakT∞l이 이미 있으면 건너 뛰어야 하는 단계이다.
$ sudo add-apt-repository universe
$ sudo apt install gnome-tweak-tool
$ sudo apt install
$(apt search gnome-shell-extension | grep ^gnome | cut -d / -f1)
Ubuntu에서 universe repo를 활성화 시킨 뒤, gnome-tweak-→ol을 설치한다.
확장을 위해 모든 extension을 깔아 주도록 하자.
설치가 끝난 이후 tweak→ol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 gnome-tweaks

그럼 이런 창이 활성화 될 것이다.
테마 적용하기
tweaks-→ol을 켜 둔 상태에서, Appearance 탭에 들어가 보도록 하자.

Thems라는 그룹 아래에 Applications, Cursor 등등이 있을 텐데, 옆에 있는 선택지를 살펴 보면 내가 설치한 테마가 있을 것이다.
해당 테마로 모두 바꿔 주자.

그럼 이런 식으로 테마가 바뀐다.
근데....... 전부 다 안바뀌는 바람에 실망해서 다시 테마 고르는중^^
테마 바꾸기
기본 테마 바꾸기
McOS_themes가 http://gnome-look.org에서 score가 좀 높은 것 같아 얘로 테마를 또 바꿔보려고 한다.
설치 방법은 위랑 비슷하니, 자세한 설명은 위를 참고.......(귀찮아)
McOS_themes 다운로드
아까 위에서 했던 거랑 똑같다. McOS-themes에 접속해서 Fi≤s 탭에서 원하는 테마를 다운받는다.
DL 란에 있는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tar.xz파일을 받는다.
나는 Mc-OS-CTL∈a-Gnome-Dark-1.3.2.tar.xz 버전을 다운받았다.
압축 풀기
$ cd ~/Downloads
$ tar xvf 다운받은파일이름
테마 옮기기 (Single User 설치)
$ mkdir -p ~/.themes
$ cd ~/Downloads
$ mv Mc*/ ~/.themes
테마 적용하기
tweaks-→ol를 켜고,Appearance>Thems>Applications에서 내가 다운받은 테마를 적용한다.

여기까지 하고 안 사실인데, 아이콘이랑 그런건 따로 다 해줘야 한다고 한다.
아이콘 테마 바꾸기
Cupertion iCons Collection 다운로드
아이콘도 바꾸기 위해 Cupertino iCons Collection에서 테마를 다운받는다.
나는 카탈리나 버전인 Cupert∈o-Catal∈a.tar.xz를 다운받았다.
다운받는건 위에서 테마 할 때랑 똑같다.
압축 풀고 파일 옮기기
테마는 ~.themes 폴더에 옮겼지만, 아이콘은 ~.icons 폴더에 옮겨야 한다.
$ cd ~/Downloads
$ tar xvf 다운받은파일이름
$ mkdir -p ~/.icons
$ cd ~/Downloads $ mv Mcata*/ ~/.icons
테마 적용하기
tweaks-→ol을 켜고, Appearance>Thems>Icons에서 내가 다운받은 테마를 적용한다.

이렇게 아이콘들이 바뀔 것이다.
커서 테마 바꾸기
Capitaine Cursors 다운로드
카탈리나 커서 팩이 있는 Capitaine Cursors에서 내 기준 다크모드 최신 버전인 ∩ita∈e-cursors-r4.tar.gz를 다운받았다.
압축 풀고 파일 옮기기
커서도 아이콘처럼 ~.icons 폴더로 옮겨야 한다.
$ cd ~/Downloads
$ tar xvf 다운받은파일이름
$ mkdir -p ~/.icons
$ cd ~/Downloads
$ mv Mcata*/ ~/.icons
테마 적용하기
tweaks-→ol을 켜고, Appearance>Thems>Icons에서 내가 다운받은 테마를 적용한다.
Dock 테마 바꾸기
Plank Preferences 다운로드
UbuntuSoftware에서 PlankPreferences가 있긴 한데, 이건 작동을 하지 않는 것 같고 터미널을 이용하여 plank를 다운받아야 한다.
$ sudo apt-get install plank
application 창에 plank가 생길 것이다.
해당 어플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밑에 dock이 생긴다.

Dock theme 다운로드
나는 mcOS Catalina Themes for Plank Dock 이 테마를 사용했다.
여기서 mcOSCatal∈a.zip 버전을 다운로드 받았다.
먼저, 다운로드 받은 해당 파일의 압축을 푼다. 나는 그냥 Files에서 GUI로 풀었다.
그리고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여 local의 plank theme으로 해당 파일을 보낸다.
$ mv 압축푼파일이름 ~/.local/share/plank/themes
다시 한번 더 똑같이 압축을 풀고, local이 아닌 root plank theme으로 해당 파일을 한번 더 보낸다.
$ sudo mv 압축푼파일이름 /usr/share/plank/themes/
Dock theme 설정
plank dock을 실행하고 있으면 화면 아래쪽에 dock이 떠 있을 것이다.
(없으면 커서를 dock이 있을만한 아래쪽으로 가져가면 올라온다)
plank dock에서 ctrl+우클릭을 하면 preference에 접근할 수 있다.

Theme에서 가져온 테마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적용하면 된다.

Dash to Dock 설치
지금 위에까지만 하면 우분투 기본 dash와 dock이 둘 다 올라와 있다.
dash를 dock으로 만들어 줘야 하기 때문에,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한다.
Dash to Dock을 설치할 건데, manually하게 설치하면 귀찮으니 gnome shell integration을 이용하도록 하겠다.
그놈 셸 확장 기능이 없다면 여기에서 설치하도록 하자.

그놈 셸 확장을 추가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하다.
로그인을 한 뒤에 Dash to Dock으로 돌아가면 오른쪽과 같이 on/off가 생길 것이다.

on으로 바꿔주면 설치가 시작되고, 옆에 있던 dash가 dock 처럼 숨겨졌다가 나타난다 한다.
하지만, 우리는 옆에 있는 dash를 꺼버리고 dock만 사용할 것이므로 다음의 절차가 또 필요하다.
Dash 숨겨버리기
gnome-tweaks를 실행시키고, extension에서 Dash→Dock을 찾은 뒤 톱니를 눌러 설정에 들어간다.

여기서 ∫elli≥nceau→h에서 autohide를 꺼 주면 옆에 있던 dash가 나타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을 보고싶으면 w∈dows키를 누른 뒤 예전처럼 옆의 dash 에서 들어가면 된다.
'잡다한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Ubuntu에서 Anaconda 설치 후 terminal 앞에 (base)가 붙었을 때 (0) | 2021.07.01 |
---|---|
[Ubuntu] Ubuntu 20.04 LTS에서 Pytorch GPU 설치하기 (0) | 2021.07.01 |
[Ubuntu] VSCode Python Linter 오류 해결하기 - Unable to import torch pylint(import-error) (0) | 2021.07.01 |